지금 당장 떠나자

헤로데스 허노 해즐릿 함제홍 한규설 본문

끄적끄적

헤로데스 허노 해즐릿 함제홍 한규설

Anne앤 2017. 4. 28. 08:11

- 헤로데스 Herodes (B.C. 74~4) : 유태의 왕. 재위 B.C. 40~4년. 유태의 하스몬왕조의 재상(宰相) 안티파테르의 둘째 아들. B.C. 41년 안토니우스의 의하여 유태의 태수(太守)가 되고, B.C. 37년 하스몬왕조에 이어 왕호를 붙였다. 안토니우스 몰락 후에도 아우구스티우스에 쳐들어가 영토를 점령, 확대해갔다. 헬레니즘에 심취하여 궁전에 그으리스 문인들을 모으고 수도 예루살렘을 미화하여 대궁전을 세웠다. 그 밖에 신전(神殿)을 지어 유태인의 민심을 사려 했으나 중세(重稅) 떄문에 실패했다. 그의 재임중 그리스도가 탄생했다. 그가 죽은 뒤 유태는 로마에 의해 직접 다스려졌다.

 

 

- 허노 (?~1637) : 이조 때의 무신. 인조 11년 (1633) 무과에 급제, 선전관이 되어 비변랑을 겸하고 뒤에 순안현감이 되었다. 병자호란이 일어난 이듬해 정월에 좌위장으로 편안도관찰사 홍명구를 따라 김화에 이르러 적과 싸우다 전사하였다.

 

- 해즐릿 Hazlitt William (1778~1830) : 영국의 평론가. 유니타리안(Unitarian)과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서 양친과 더불어 미국으로 이주하였다가 귀국하여 웸(Wem)에서 성장했다. 1798년 코울리지(S.T.Coleridge)에게 큰 감명을 받았으며, 워즈워드(Wordsworth), 램(C.lamb)등과도 알게되었다. 1812년 화가를 지망하였다가 평론을 써서 자유주의적인 정치사상으로 보수적인 잡지로부터 공격을 받았다. 문화평론으로 <세익스피어극 성격론> <영국 시인론> <엘리자베드조 연극론> <현대사조론> 등과 수필집 <탁상담화> <나폴레옹전> 등이 있다.

 

- 함제홍 : 이조 헌종 때의 악사. 대금과 단소의 명수로 단소에 있어서 소의 장단과 음공의 거리 여하를 불문하고 율에 맞추며 독주나 합주도 일호의 어긋남이 없어 당대의 독보적인 존재였다.

 

 

- 한규설 : 이조 말엽의 정치가. 생몰 연대 미상. 자는 순우. 본관은 청주(淸州). 일찌기 무과에 급제하여 포도대장, 장위사, 찬정을 거쳐 1905년에 의정부 참정으로서 내각을 조직하였다. 제2차 한일협약에 반대하고 뒤에 중추원 고문, 궁내부 특진관이 되었다.

Comments